REGISTER

언론보도

군포를 바꾸고 대한민국을 이끌 역대급 비즈니스 세상, 마침내 시작됩니다! - 트리아츠
2023.10.12

하나금융硏 “내년 韓 성장률 2.1%”

2024 경제·금융시장 보고서

·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완화 글로벌 변수로 변동성 클 것
· 부동산 수도권 중심 소폭 상승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글로벌· IT 경기 회복에 따라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긴축 종료로 금리· 환율이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각종 변수에 따른 변동성은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 선호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가격상승세는 소폭에 그칠 전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4년 글로벌 및 국내경제, 금리와 환율 등 금융시장을 전망하는 ‘2024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소는 내년 중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글로벌통화 긴축이 종료되면서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대표되는 3고(高) 현상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올해 국내 경제가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인 파급효과 등으로 1.3% (추정)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고, 내년엔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및 주요국 금리 인상 기조 종료, 제조업 경기 개선 등에 힘입어 수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하면서 올해보다 개선된 2.1%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또 물가 위험 잔존 및 가계부채 재증가 부담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현 구준(3.5%)의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물가수준이 2%대로 안정화되는 하반기 중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전환을 확인한 후 후행적으로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단, 시장금리는 미국정책금리 고점인식이 확산하고 긴축으로 인한 미국의 성장둔화가 가시화되면서 대외 금리가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되면서 연중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도 연준의 긴축 종료 및 달러화 강세 압력 완화 속 수출 회복에 따른 무역수지 개선, 반도체경기 개선에 의한 외국인 자금 유입 기대 등을 고려할 때 상반기엔 1,293원, 하반기엔 1,268원 등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추정했다.주택시장은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가계부채 부담이 크고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 규제로 가계의 차입 여력도 낮은 만큼 매수세가 올해 대비 소폭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의 규제 수준이 거의 유사하고 가격의 재하락 우려에 우량자산 선호가 높아지면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 지면기사를 발췌하여 외부 링크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2023.09.12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 3개월 연속 증가

ㅣ 경기도 260건으로 1위⋯ 서울 1조원 넘게 거래
ㅣ ‘꼬마 빌딩‘ 인기⋯ 강남구, 자치구 거래 1위 차지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 거래량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12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전국에서 거래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총 1,213건으로 전월 1,171건 대비 3.6% 늘었다. 이는 지난 4월 1,126건의 거래 기록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1월 거래량인 693건과 비교해 약 75% 이상 늘어난 수치다. 거래금액은 2조 3,978억원으로 전월 대비 0.8% 증가에 그쳤지만 상승 기조를 유지해 갈 것이라는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에서 총 260건의 거래가 발생해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차지했고 이어서 서울이 139건, 경북 105건, 충남 96건, 경남 87건 군으로 집계됐다. 거래금액에서는 서울이 1조 1,334억원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유일한 1조원대 거래 규모를 보였고, 뒤이어 경기 3,821억원, 부산 1,532억원, 대전 1,391억원, 인천이 833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년 동월과 비교 시에는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각각 15.9%, 45.5%만큼 감소한 수준으로 온전한 회복을 위한 가시적 상승을 보이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경우 7월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139건으로 6월 대비 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이후 증감을 반복하며 이어온 상승 기류가 7월까지 계

속된 것이다. 거래금액 또한 1조 1,334억원을 기록하며 직전월의 1조 889억원에서 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대 핵심 권역 기준으로는 YBD(영등포구, 마포구)가 전월 대비 21.1% 상승한 23건, CBD(종로구, 중구)는 12.5% 오른 27건의 거래량을 기록한 것과 달리 GBD(강남구, 서초구)는 11.5% 감소한 23건의 거래량에 그쳤다. 아울러 이들 권역의 거래금액은 6월 대비 모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YBD가 1,102억원, CBD 1,794억원, GBD는 3,534억원으로 직전월과 비교해 각각 38%, 28.1%, 23.8% 씩 하락했다. 그 외(ETC) 지역은 66간의 거래량과 4,904억원의 거래금액을 띄며 13.8%, 124.2% 상승 마감했다.

자치구 단위의 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강남구에서 16건의 거래, 2,989억원의 거래금액이 발생해 서울시의 모든 자치구 기록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종로구 14건, 중구 13건, 마포구 12건, 영등포구에서 11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거래금액을 기준으로는 용산구 2,400억원, 중구 1,519억원, 마포구 575억원, 서초구 545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은 올해 상반기에 이어 7월까지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최근에는 매도자들이 딜 클로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가격을 다소 조정하겠다는 경향을 보이며 매수자들도 가격 협상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만큼 관심 있는 물건에 대해 적절한 투자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클릭하면 원문 기사로 이동 됩니다.
2023.10.19

8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 2개월 연속 하락 딛고 반등

8월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이 6월에 이어 7월까지 2개월 연속해서 감소하더니 8월 들어 반등했다. 7월은 물론 지난해 같은 달인 8월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상회하며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빅데이터 및 AI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의 '2023년 8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거래 특성 리포트'에 따르면 전국에서 발생한 부동산 거래량은 8만7천250건으로 직전월 8만3천720건과 비교해 4.2%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소폭 증가지만 올해 5월 이후 두 달 연속 거래량 감소로 고전하는 모습을 보인 전국 부동산이 상승 전환했다. 매매거래금액 역시 7월, 27조7천95억 원에서 3.8% 늘어난 28조7천585억 원으로 집계됐다.


⋯ 1년 전과 비교하면 상승폭은 더욱 확연하다. 작년 8월 거래량과 거래액은 7만9172건, 21조6659억 원으로 올해 동월 대비 각각 10.2%, 32.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상가·사무실 거래량은 3천656건으로 전월 거래량인 3천286건 대비 11.3%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으며, 거래금액 또한 7월(1조576억 원)과 비교해 106.4% 상승한 2조1천825억 원을 기록했다.

지역별 상가·사무실 거래 시장은 다소 혼잡한 양상을 띄었다. 먼저 대구의 경우, 지난 7월과 비교해 거래량이 93.1% 늘어나 거래 상승률 1위를 차지했고 뒤이어,

경기(48.8%), 세종(46.2%), 충남(30%), 전북(28.4%) 등 총 7개 시도에서 거래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금액은 서울이 450.9%라는 압도적인 전월 대비 증가율을 보였고, 이어서 대구(135.2%), 세종(63.4%), 경기(51%), 충북(33.4%) 등 7개 시도에서 상승세가 확인됐다.

울산은 거래량이 54.5% 하락해 가장 크게 감소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제주(51.1%)와 전남(48.4%), 광주(38.5%), 충북(25.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전남이 84.1%의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으며 울산(72.6%), 강원(64.6%), 대전(49.7%), 제주(32.8%) 등의 10개 지역이 하락을 면치 못했다. 전국 오피스텔의 총 거래량은 2천225건으로 7월(2천311건) 대비 3.7%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0.4%만큼 줄어 상승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아파트와는 대조적이었다. 거래금액은 직전월과 비교 시 0.6% 증가해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이 역시 지난해와 비교하면 17.1% 하락한 것으로 파악했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작년 수치를 뛰어넘는 기록을 보였지만 일부 유형과 지역에 따라서 여전히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섣부른 낙관보다는 계속해서 시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 클릭하면 원문 기사로 이동 됩니다.
2023.10.25

3‧4분기에도 오피스 독주 이어져…상가는 혼조세

ㅣ 오피스, 6분기 연속 임대가격지수 상승 이어져
ㅣ 상가는 고금리 고물가에 혼조세 보여

3·4분기 상업용부동산 시장은 오피스는 훈풍이 불었지만, 상가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의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에 따르면, 오피스의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0.34% 상승해 6분기 연속 올랐다. 상가는 중대형 0.00% 보합, 소규모 0.11% 하락, 집합 0.01%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전기 대비 오피스 0.50%, 중대형 0.40%, 소규모 0.52%, 집합 0.23% 올랐다. 부동산원은 "오피스는 주요 업무지구를 중심으로, 부족한 공급 대비 꾸준한 임차수요가 이어지며 서울·경기를 주도로 임대가격지수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상가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7~8월까지 이어진 지속적인 소비심리 개선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로 매출 증가로 전환은 한계점을 보였다. 유형별로 다른 임대가격지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전국의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1.00%으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중대형 상가는 0.65%, 소규모 상가는 0.59%로 전분기 대비 각각 0.08%, 0.07% 내렸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8.9%로 나타났다. 중대형 상가는 13.6%, 소규모 상가는 7.3%, 집합 상가는 9.4%로 드러났다.

※ 클릭하면 원문 기사로 이동 됩니다.
2023.09.12

지식산업센터 흥행도 역세권이 가른다

ㅣ 직주근접 프리미엄 분양 관심

최근 분양한 주요 지식산업센터들은 역세권 입지를 적극 강조하고 있다. 위축된 지식산업센터 분양 시장에서 입지 선호도는 물론 희소성이 높은 ‘역세권’을 내세워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부동산 시장에서 역세권의 가치는 상품의 종류를 불문하고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공급 과잉에 따른 공실 문제를 겪고 있는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역세권 여부에 따라 찾는 수요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욱 높다. 역세권 지식산업센터 경우 출퇴근이 편리해 워라밸을 보장하는 직주근접 프리미엄을 갖추고 있어 임직원들의 선호도가 높다. 또한 역을 중심으로 쇼핑, 문화, 의료 등 다양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역세권에 위치하고 있는 지식산업센터들은 비역세권 단지 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이 도보 4분 거리인 ‘코오롱싸이언스

밸리2차’는 3.3㎡당 시세가 1,340만원(지식산업센터114 자료 기준)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도보 14분 거리인 ‘에이스하이엔드타워2차’는 3.3㎡당 시세가 920만원으로 역세권 단지보다 낮았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최근 공실 문제를 겪고 있는 지식산업센터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지하철 역이 없거나 먼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라며 “먼저 회복세나 반등을 보일 지역은 역세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에도 역세권 입지를 갖춘 지식산업센터들이 공급 중에 있어 눈길을 끈다.

※ 클릭하면 원문 기사로 이동 됩니다.